국내 100대 기업에 다니는 일반 직원이 임원 자리에 오를 수 있는 확률이 1%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통업에 조사하는 직원은 임원이 될 가능성이 0.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한국CXO연구소가 상장사 매출액 100대 기업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등기임원을 제외한 전체 직원 84만9406명 중 미등기 임원은 7천135명(0.84%)에 불과했다. 일반 직원이 임원이 되기 위해서는 119대 1의 경쟁률을 뚫어야 한다.
한국CXO연구소는 2011년 이후 국내 100대 기업에서 임원이 될 확률이 1%를 넘은 사례가 한 번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 측에 따르면 지난 2011년 당시 100대 기업에서 일반 직원이 임원으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은 0.95% 수준이었으나, 이후 2015년(0.94%), 2018년(0.8%), 2019년(0.78%), 2020년(0.78%), 2021년(0.76%)까지 내림세를 보였다. 2022년(0.82%)에는 다시 0.8%대로 반등했으나 작년에는 0.83%를 기록했다.
국내에서 임원 수가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임원 1명당 직원 수가 110.3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의 임원 승진 확률은 올해 0.91%로, 지난 2014년 1.24% 대비 임원으로 가는 길이 더 좁아졌다.
임원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현대코퍼레이션으로 임원 1명당 직원 수가 14.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의 직원이 임원으로 승진할 확률이 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포스코홀딩스는 임원 1명당 직원 수가 15.8명으로 임원 승진 확률이 6.3% 수준으로 분석됐다.
임원 가능성은 업종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유통업에 종사하는 직원이 임원에 오를 가능성은 0.3%로 직원 287.4명당 한 명 정도가 임원이 된다. 유통업은 매장 직원 비중이 높아 일반 직원으로 입사해 임원까지 승진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다. 반면 증권업은 2.5%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속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임원 승진 후 2∼3년 후에 물러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왕이면 일반 직원으로 가늘고 길게 가려고 승진을 기피하려는 분위기가 팽배해졌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