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은 2023년보다 6.6% 늘어난 1천330억2천600만달러로, 주요 10개 지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대미 수출은 10.45% 증가한 1천277억9천100만달러로, 중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대미 수출은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52억3천5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03년(8억9천100만달러) 이후 가장 좁혀진 것이다.
대중 수출은 중국의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급률 상승으로 인해 한중 교역 구조에 변화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반도체, 일반기계 등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내 첨단산업 설비 투자를 확대하면서 관련 기계류 및 중간재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첨단산업 분업 체계와 공급망 강화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 2기에도 미국과 상호보완적인 교역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