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사업계획 수립 때 현재 수준인 1천450∼1천500원 범위로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
올해 사업계획수립 시 적용한 환율 범위가 1천350∼1천400원로 설정했다는 응답이 33.3%로 가장 많았고, 1천300∼1천350원(29.6%)이 뒤를 이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사업계획에 1천300원대 환율을 적용한 셈이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1천430원대까지 뛰었다. 또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표결 직후 1천470원을 넘어섰다.
사업계획 수립 시 적용한 환율과 현재 환율의 격차가 큰 만큼 향후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환율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원자재 및 부품 조달 비용 증가'(3.70점)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해외투자 비용 증가'(3.30점), '수입 결제 시 환차손 발생'(3.15점), '외화차입금 상환 부담 증가'(2.93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환율 불안을 키우는 잠재적 요소(복수응답)로 '국내 정치적 불안정 지속'(85.2%)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 본격 개시'(74.1%)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또 불안정한 환율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과제(복수응답)로는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0%)와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63.0%)을 많이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