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노후 설비 교체를 희망하는 섬유 기업에 최대 1억원 설비 전환 자금을 지원한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부터 '2025년도 섬유 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 조성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섬유산업은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과 함께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이다. 원단제조와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 탄소가 배출된다. 특히 국내 섬유업계는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88.6%)이 높아 저탄소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2023년부터 저전력모터, 폐수 열교환기 등 저탄소설비 교체를 지원하고 있다.
섬유업계 저탄소 전환은 글로벌 흐름이기도 하다. 국제적으로는 유럽연합(EU)이 2027년부터 디지털제품여권(DPP) 규제를 도입해 탄소 감축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글로벌 섬유·패션 바이어도 공급망 기업에 탄소 감축을 요구하는 등 저탄소 전환은 섬유업계에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산업부는 이같은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지원범위를 전력량계, 유량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까지로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저탄소화 설비를 설치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설치 비용의 70%, 대기업에는 50%까지 1억원 범위에서 지원한다. 또 선정 업체에는 탄소감축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탄소 감축 효과가 상위 30%에 해당하면 '탄소 감축 확인서'를 발급한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