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에어부산 홍콩행 BX391편에서 발생한 화재는 보조배터리가 발생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항철위)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과 관계 기관의 합동 수색 과정에서 발화 지점으로 의심되는 객실 좌측 30번열 인근에서 확보한 전기 배선과 조명기구, 보조배터리 잔해를 국과수로 이송해 정밀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조사에서 보조배터리 잔해에서 다수의 전기적 용융흔(녹은 흔적)이 식별했는데,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이 합선된 상태를 뜻하는 '절연파괴'가 발생하면서 최초 발화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봤다.
다만 "배터리 잔해는 심하게 연소해, 검사만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배터리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했는지 직접 논단(판단이나 결론을 내리는 것)이 어려운 상태'라고 밝혔다.
아울러 "항공기 전기 배선이나 조명 기구, 기판 잔해 등 내부 구조물에서도 발화와 관련지을 전기적 특이점은 식별되지 않은 상태"라며 "항공기 내부 시설물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했다.
항철위는 "현재까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조배터리에 의한 화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계속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라며 "사고 조사 과정에서 안전 조치가 필요한 경우 항공사 등에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