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과 관련 국민의힘은 "개헌과 관련된 당의 입장은 변함없다"고 못 박았다. 개헌에는 동참하겠지만 끌려가지는 않겠다는 기조다.
6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에서 "개헌에 동참하고 (우 의장이 제안한) 국회 개헌특위를 구성하는 데 우리 당 인원은 원내대표가 추천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권 위원장은 "그 뒤에 논의되는 부분은 당 개헌특위에서 안을 제시할 것"이라며 "거기(더불어민주당)에서 만든 안을 우리가 고무 스탬프처럼 찍을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를 마친 뒤 "(개헌) 시기와 추진 일정, 내용에 대해선 당 개헌특위에서 논의가 아직 충분히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논의를 통해 말씀드리겠다"고 말을 아꼈다.
당내 대선 주자들도 개헌 필요성을 앞다퉈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자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면서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의 시작과 끝을 맞추기 위한 목적 외에 개헌의 실현 가능성을 크게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민주당은 개헌을 반대하는 호헌세력이지만, 만약 임기단축 약속을 지킬 국민의힘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3년 만에 다시 선거를 할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개헌에 동의할 가능성이 크다"며 "오직 국민을 먼저 생각한다면 개헌은 반드시 해내야 하고 그것을 위해 난 3년 임기 단축을 약속하고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철수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 의장의 제안과 관련한 질문에 "나는 내년에 개헌을 위한 투표를 지방선거와 함께 치르자고 말씀드렸다"며 "87년 체제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반드시 내년에 개헌해야만 하고, 우리 당 경선 후보들과 최종 본선에 갈 후보도 전부 개헌에 대해 공약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개헌특위 위원인 최형두 의원은 페이스북에 "앞으로 두 달 후 국민의 시간이 온다. 그 사이에 국회는 이제 87년 앙시앵 레짐을 끝내야 한다"며 "나중에 하자는 말은 하지 말자는 뜻이다. 국회와 대통령이 협치하게 하고, 국회가 국민의 뜻을 제대로 수렴할 수 있도록 권력구조에 대한 개헌안을 만들어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개헌투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 개헌특위는 그간 세 차례 회의를 열어 대통령 권한 분산을 위한 분권형 대통령제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대통령 4년 중임제' 원포인트 개헌을 추진하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국회의 권한 남용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의회 해산권, 양원제 등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를 이어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