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제조업 매출 감소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일본, 중국, 한국 순으로 그 우려 정도가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한중일 각국 매출 상위 1천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101곳씩 총 303곳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제조기업들이 예상한 내년도 매출 감소 폭은 평균 4.0%로 나타났다. 중국은 6.7%, 일본은 7.2%로 각각 집계됐다.
업종별로 한국은 기계·산업장비(-12.2%)에서 예상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철강·금속제품(-8.7%), 컴퓨터·관련장비(-7.5%), 자동차·부품(-7.2%)이 뒤를 이었다.
트럼프 정부에 대응한 투자 계획 조정 여부를 묻자 한중일 모두에서 '변경 없음'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중국은 '투자 확대' 응답이 30%에 육박했다.
한국은 '변경 없음'이 74.3%였고 '검토 중'(19.8%), '확대'(4.0%), '축소'(2.0%) 순이었다. 일본은 '변경 없음' 61.4%, '검토 중' 27.7%, '축소' 5.9%, '확대' 5.0%였다.
다만 중국은 '변경 없음'(38.6%)이 가장 많았지만 그 비중이 비교적 작았고 '확대'가 28.7%로 2위를 차지했다. '현재 검토 중'이 20.8%, '축소'가 11.9%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것은 정부의 정책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 기대감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관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전략(복수 응답)에 있어선 한중일 기업 모두 '원가·비용 절감'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한국 46.0%, 중국 61.0%, 일본 41.0%다. 또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 응답은 한국 11.0%, 중국 17.0%, 일본 21.0%로 나타났다.
각국 정부에 바라는 사항에 대해선 한국은 '세금 감면'과 '재정 지원·보조금'이 각각 58.0%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신시장 개척 지원'(60.0%)과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58.0%) 순으로 꼽았다. 일본은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45.0%), 세금 감면(41.0%), 재정 지원·보조금(39.0%) 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