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구경북에 철도 인프라 기반 광역교통시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이번 계획에는 지역 경제생활권 통합을 위한 신규 광역교통사업 14건이 포함될 전망이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9일 대구테크노파크(동대구캠퍼스)에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년) 수립을 위한 대구권 간담회를 열고 지역 광역교통 인프라 개선 방향을 논의한다. 대구권은 광역교통정책 추진을 위해 설정된 경제생활권으로, 대구와 경북 구미·경산·영천·청도·고령·성주·칠곡·의성·청송, 경남 창녕을 아우르는 지역이다.
광역교통시행계획은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BRT, 환승센터 등 광역교통시설을 확충하고 교통체계를 개선하고자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현재 진행 중인 제4차 계획(2021~2025년)에는 전국 5개 대도시권(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의 총 146개 사업이 포함돼 있다. 총 투자규모는 28조원(5개년 국비 기준 7.1조원)에 달한다.
간담회에는 강희업 대광위원장을 비롯해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 한국교통연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북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간담회에서는 대구시는 최근 개통한 지방권 최초의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인 안심~하양선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1건의 광역도로 신규사업을 추가 건의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영천 연장 등 기존 사업 3건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광역철도 9건, 광역도로 3건, 환승센터 1건 등 총 13건의 신규사업을 제5차 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요청할 방침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각 건의사업에 대한 1차 검토 결과와 경제성 분석, 향후 자치단체 협의, 공청회 등 추진 일정을 설명할 예정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대구경북은 지난해 광역철도 개통으로 철도 인프라의 안정적 기반을 확보한 지역"이라며 "이번 계획을 통해 양 지역이 하나의 광역 경제생활권으로 성장하고, 수도권에 대응하는 지역의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한편 대광위는 3월 부산·울산권, 4월 광주권에 이어 9일 대구권, 14일 대전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그리고 다음 달 중 수도권 간담회까지 마무리해 상반기 내 전국 권역별 의견 수렴을 완료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