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불 피해 마을에 커뮤니티 시설 조성…경북도·의성군 '전화위복 버스' 현장 회의 열어

21일 마을 절반 전소된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서 개최
의성군 "대피 의료기관 지원 기준 마련, 산사태 복구 추진 절차 간소화" 건의
경북도 "마을광장·커뮤니티센터·공용식당 조성, 청년 농부 유입 유도"

산불 피해 현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피해 복구와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산불 피해 현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피해 복구와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경상북도 전화위복 버스'가 21일 의성군 단촌면에서 열렸다. 의성군 제공.

산불 피해 현장에서 피해 복구 및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경상북도 전화위복 버스' 4번째 회의가 21일 의성군에서 열렸다.

단촌면 구계보건진료소에서 열린 이날 현장 회의는 산불 피해 복구 및 구계리 마을 재건 방안을 모색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한 후속대책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회의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김주수 의성군수, 최훈식 의성군의회 의장, 최태림, 이충원 경북도의원, 의성군의원, 구계리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경북도와 의성군은 이날 마을 재건 계획 보고를 통해 산불로 주택 절반이 불에 탄 구계리 마을을 살기 좋고, 지속 가능한 마을로 재건하겠다고 밝혔다.

새로 조성하는 마을은 마을광장과 커뮤니티센터, 공용식당을 갖추는 한편, 젊은 농업인의 유입을 위한 농업 위탁경영 활성화, 농촌 휴양마을 조성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정부 예산안에서 최종 확정된 경북 산불 피해 복구비는 모두 1조8천310억원이다. 경북도는 정부 지원을 활용, 신속한 복구와 지역 재건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의성군은 산불 발생 당시 요양시설 거주자들이 대피한 의료기관들에 대한 지원 기준을 마련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번 산불로 의성 지역 요양시설 거주자 344명은 안동과 구미, 문경, 의성 등의 의료기관 8곳에 분산 수용됐다.

의성군은 수용 의료기관 근무자들에 대한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기준과 대피인원의 진료비 지원 기준, 대피 의료기관의 비용 보전 기준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산불 피해지 복원 기본계획 용역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송이 특별위로금 지급 기준, 산림작물 복구비 지급 기준 마련 등도 요구했다.

산불 피해지를 항구 복구할 벌채비 지원과 산사태 복구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생략 등 절차 간소화도 건의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단순 복구를 넘어 산불 피해 지역을 혁신적으로 재창조해 후손들에게 상처가 아닌 전화위복의 역사를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