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시 KTX 증편 요구…국토부 APEC 대응 증편 '긍정' 정기 증편은 '갸우뚱'

열차 구하기 힘든 신경주 KTX 상하행선…경주시, 국토부에 증편 요구
국토부 "전국에서 KTX 증편 요구"…선로용량 등 '종합 검토 필요' 입장

경주시가 경주역을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남에 따라 KTX와 SRT 고속열차 정차횟수 증편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SRT 운행 장면. 경주시 제공
경주시가 경주역을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남에 따라 KTX와 SRT 고속열차 정차횟수 증편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SRT 운행 장면.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에서 KTX 이용객이 3년 새 두 배 이상 폭증하면서 정차 증편을 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2일 경주시에 따르면 신경주역 KTX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21년 2천901명에서 2023년 5천900명으로 103% 증가했다. 같은 기간 SRT 이용객도 1천798명에서 2천823명으로 57% 늘었다. KTX 열차 운행 횟수가 비슷한 김천과 구미가 49% 늘어난 점을 생각하면 경주의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게 경주시의 설명이다.

현재 경주역은 KTX가 주중 상행 20회·하행 23회, 주말 상행 23회·하행 27회 정차한다. SRT는 주중 상·하행 각 15~16회, 주말 18회 운행된다. 반면 인근 울산역은 하루 70편 이상 운행돼 경주는 절반 수준에 머문다.

경주시 관계자는 "관광 성수기와 공휴일에는 예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되는 등 공급 부족이 심각하다"며 "KTX 경주역세권 개발로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정기적인 정차 확대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경주에 정차를 추가하면 하행 열차 운행시간이 밀려 전체 선로용량에 부담을 줄 수 있고, 울산이나 부산 등 타 지역 정차 횟수를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는 이유다.

국토부는 차량 수급 문제도 거론한다. 현재 차량 수가 한정돼 있어 단기간 내 증편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주처럼 전국 각지에서 KTX 정차 확대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점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비교 기준인 2021년은 코로나19로 열차 수요가 일시적으로 급감했던 시기"라며 "팬데믹 이후 전국적인 수요 증가 흐름 속에서 경주의 실질적 증가 폭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토부는 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국제행사 기간 동안 한시적 증편은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경주역. 경주시 제공
신경주역. 경주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