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당국의 항공교통서비스 평가에서 대구국제공항을 기항지로 하는 티웨이항공이 항공안전성 부문에서 E+ 등급으로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 반면, 대구공항은 수속 신속성에서 최고등급인 A++를 획득하며 대비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국토교통부는 29일 10개 국적사와 43개 외항사를 포함한 총 53개 항공사와 김포·김해·대구·인천·청주·제주 등 6개 주요 공항을 대상으로 한 '2024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티웨이항공은 국내선 운항신뢰성 부문에서 B++ 등급, 국제선에서는 B 등급을 유지했으나, 항공안전성 부문에서 E+ 등급을 받아 안전성 개선이 시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정비요인에 따른 회항, 과징금 처분 등 안전관리 미흡 사례가 누적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티웨이항공은 이용자 보호 충실성에서는 A+등급,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5.60점을 받아 '만족' 평가를 유지해 소비자 대응 측면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대구공항은 체크인카운터와 보안검색대 등 수속시설 확충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여객처리 신속성 부문에서 전년 B등급에서 A++등급으로 상승했다. 또한 교통약자 편의시설 개선으로 이용편리성 부문에서도 B+ 등급으로 상향됐다. 수하물 처리 정확성은 국내 모든 공항과 함께 A++등급을 받았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는도 '만족'으로 평가됐다.
이번 평가에서 제주항공은 지난 연말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생긴 사고 여파로 안전성 부문 최하위인 F등급을 받았다. 이스타항공(C+), 에어프레미아(C), 진에어(C++) 등 저비용항공사 전반의 정시성이 하락했다. 이에 따라 국적 항공사의 전체 안전성 평균도 A+에서 B+로 하락했다.
박준상 국토부 항공산업과장은 "항공사의 정비역량 강화와 안전투자 확대 등 최근 마련한 '항공안전 혁신 방안'을 적극 추진해 국적사의 안전성 강화를 선도할 계획"이라면서 "2025년도 평가부터는 항공사의 지연율과 지연된 시간도 평가에 반영하는 등 평가를 더 고도화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항공교통서비스 향상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