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대기업 노동조합들이 큰 폭의 임금 인상 및 정년 연장을 내걸고 노사 협상에 나서고 있다.
1일 재계에 따르면 자동차와 조선, 반도체 등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기업 노조를 중심으로 7∼8%대의 높은 임금 인상률과 성과금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달 28∼29일 열린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월 기본급 14만1천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금속노조 지침)과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을 내용으로 하는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했다. 아울러 통상임금의 750%인 상여금을 900%로 인상하고, 직군·직무별 수당을 인상 또는 신설하는 안도 요구안에 포함됐다.
SK하이닉스 노조도 ▷임금 8.25% 인상 ▷연봉 상한선 상향 ▷초과이익분배금(PS) 배분율 상향 및 상한 폐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업황 개선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 출범으로 호황기를 맞은 조선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노조는 각각 기본급 14만1천300원 인상안을 만들어 임단협 교섭에 나섰다.
아울러 올해 임단협에서 노조가 일부 대선후보의 공약에 맞춰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정년을 현재 60세에서 국민연금 수령 개시 전년 연말(최장 64세)로 연장하고, 정년 연장을 이끌기 위한 포석으로 기존 35년까지이던 장기근속자 포상 기준에 40년 근속을 신설하는 안도 마련했다.
한층 강화된 노조의 요구에 사측은 난감한 상황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올해는 대선과 맞물려 임단협 협상 타결이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노사 리스크는 불확실성을 더욱 키울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