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인 지난해에도 상장사들의 배당금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과 국내 법인이 수령한 배당금 비중이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고령층 개인 투자자들이 전체 배당금 수령액의 과반을 차지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5일, 12월 결산 상장법인들의 2023년 현금배당 규모가 총 32조2천94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9.6% 증가한 수치다. 주식과 현금이 함께 지급된 복합배당도 포함된 수치다.
연말 기준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지수가 각각 9.6%, 21.7%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배당금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배당을 실시한 기업 수는 총 1천190개사로, 전년 대비 4곳 증가했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이 지급한 배당금은 30조21억원으로, 전년보다 9.2% 늘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 상장사의 배당금도 2조2천925억원으로 15.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용 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 부문이 4조1천263억원을 배당해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반도체 제조업은 3조8천475억원, 지주회사는 3조3천581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개별 기업 기준으로는 유가증권시장에서 기아가 총 2조5천589억원을 배당해 상장사 중 가장 많은 배당금을 지급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에이치피에스피가 48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배당금 수령 주체별 분석에서는 국내 법인의 수령액이 13조4천121억원으로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2조855억원, 비율로는 18.4% 증가한 수준이다.
외국인은 총 9조7천951억원(30.3%)을 배당으로 수령했으며, 국내 개인투자자의 배당금 수령액은 9조874억원(28.1%)이었다.
외국인 투자자에게 가장 많은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은 삼성전자로, 총 1조2천771억원을 외국인 주주에게 지급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리노공업이 외국인에게 166억원을 배당해 가장 많은 액수를 기록했다.
국적별로는 미국 투자자가 4조2천457억 원을 수령해 전체 외국인 배당금의 43.3%를 가져갔다. 이어 영국(1조553억원), 룩셈부르크(5천555억원), 싱가포르(5천452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국내 개인투자자 가운데 50대와 60대가 전체 개인 배당금의 58.1%를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대의 자산 축적도와 투자 성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