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6개월간 국내 주요 식품업체가 잇따라 제품 가격을 올리면서 가공식품 10개 중 7개 이상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체 73개 가공식품 품목 중 71%에 이르는 52개 품목의 물가 지수가 지난해 11월 대비 상승했다. 이 가운데 5% 이상 오른 품목도 19개에 달했다.
오징어채는 6개월 새 31.9%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초콜릿은 10.4%, 커피는 8.2% 올랐다. 양념 소스(7.9%), 식초(7.7%), 젓갈(7.4%) 등도 큰 폭으로 올랐고, 빵(6.4%), 잼(6.3%), 햄·베이컨(6.1%) 등도 줄줄이 인상됐다. 고추장과 생수도 6% 안팎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밖에 아이스크림(4.9%), 유산균(4.7%), 냉동식품(4.5%), 어묵(4.2%), 라면(4.1%) 등이 5% 전후로 가격이 뛰었고, 케이크·단무지·스낵과자·즉석식품·편의점 도시락 등도 3~4% 수준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식용유는 같은 기간 8.9% 하락했다. 두부(-4.1%), 국수(-4.1%), 밀가루(-2.2%) 등 17개 품목도 가격이 내렸다. 당면 등 4개 품목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앞선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봐도 지난달 가공식품의 지난해 같은 달 대비 물가 상승률은 4.1%로, 지난해 11월(1.3%)의 세 배를 넘는다. 정부의 물가 통제가 느슨해진 정치·사회 혼란기에 식품업체가 줄줄이 가격을 인상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대상은 올해 설을 앞두고 드레싱 가격을 평균 23% 인상했고, hy(한국야쿠르트)는 지난달 야쿠르트 라이트 제품 가격을 14% 올렸다.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오뚜기, 빙그레, 농심 등은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제품 가격을 두 차례 이상 올렸다. 특히 롯데웰푸드는 과자와 아이스크림 제품 수십 종을 8개월 사이 두 차례 인상했고, 오뚜기는 3개월 동안 네 차례에 걸쳐 가격을 올렸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2022년 5월과 비교하면 전체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70개가 가격이 올랐고, 이 중 50개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