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가격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가격 강세는 오는 8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은 8일 발표한 '농업관측 6월호'에서 6~8월 계란 산지 가격이 특란 10개 기준 1천850∼1천950원으로 1년 전보다 12.4∼18.5%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평균 가격보다 9.9∼15.8% 높은 수준이다.
계란 산지 가격은 3월 기준 1년 전과 비슷했으나 4월과 지난달 각각 1천773원, 1천838원을 기록하며 10.2%, 12.2% 상승했다. 소비자 가격도 덩달아 올라 지난달 평균 특란 한 판(30개) 가격이 7천26원으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천원을 넘어섰다.
농경연은 가격 상승 원인으로 산란계 고령화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 질병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지목했다. 특히 3월 충청권에서 고병원성 AI가 집중 발생해 지역 간 물량 불균형이 발생했고, 이것이 전국 평균 산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대한산란계협회는 3월부터 최근까지 계란 산지 가격을 한 개당 146원에서 190원까지 약 30% 인상 고시했다. 협회는 계란 가격 상승이 정부 규제와 소매점 폭리로 촉발됐다며,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축산법 시행령 개정으로 산란계 사육 면적 기준이 50% 확대되면 사육 가능 마릿수가 줄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경연은 7~8월 소비 감소로 산지 특란 10개 가격이 1천750∼1천850원으로 6월보다 낮아지지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7.6∼14.4%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계란과 별개로 지난달 닭고기 산지 가격도 1년 전의 1.5배 수준으로 올랐다. 출하량 감소와 대형 닭 부족으로 인한 부분육 공급 감소가 원인이다. 다만 농경연은 이달 육계 산지 가격이 1㎏당 2천100∼2천200원으로 전달보다 8.4∼12.6%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