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가격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가격 강세는 오는 8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은 8일 발표한 '농업관측 6월호'에서 6~8월 계란 산지 가격이 특란 10개 기준 1천850∼1천950원으로 1년 전보다 12.4∼18.5%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평균 가격보다 9.9∼15.8% 높은 수준이다.
계란 산지 가격은 3월 기준 1년 전과 비슷했으나 4월과 지난달 각각 1천773원, 1천838원을 기록하며 10.2%, 12.2% 상승했다. 소비자 가격도 덩달아 올라 지난달 평균 특란 한 판(30개) 가격이 7천26원으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천원을 넘어섰다.
농경연은 가격 상승 원인으로 산란계 고령화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 질병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지목했다. 특히 3월 충청권에서 고병원성 AI가 집중 발생해 지역 간 물량 불균형이 발생했고, 이것이 전국 평균 산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대한산란계협회는 3월부터 최근까지 계란 산지 가격을 한 개당 146원에서 190원까지 약 30% 인상 고시했다. 협회는 계란 가격 상승이 정부 규제와 소매점 폭리로 촉발됐다며,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축산법 시행령 개정으로 산란계 사육 면적 기준이 50% 확대되면 사육 가능 마릿수가 줄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경연은 7~8월 소비 감소로 산지 특란 10개 가격이 1천750∼1천850원으로 6월보다 낮아지지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7.6∼14.4%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계란과 별개로 지난달 닭고기 산지 가격도 1년 전의 1.5배 수준으로 올랐다. 출하량 감소와 대형 닭 부족으로 인한 부분육 공급 감소가 원인이다. 다만 농경연은 이달 육계 산지 가격이 1㎏당 2천100∼2천200원으로 전달보다 8.4∼12.6%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