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충격으로 인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선진국·아시아 신흥국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금융시장 변동성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 관세 충격에 의한 원·달러 환율 변동성(최고치 기준)은 0.98%를 기록했다. 선진국(0.72%)이나 아시아 신흥국(0.56%)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연구원은 미국 관세 충격에 따른 최근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과거 위기 시기·주요국과 비교·분석했다. 분석 시점은 ▷IT버블 붕괴 ▷금융위기 ▷유럽 재정위기 ▷코로나19 위기 ▷미국 관세 충격 등 5가지로 구분된다. 비교 대상 국가는 선진국 7개국(미국, 유로, 영국, 캐나다, 일본)과 아시아 신흥국 7개국(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이다.
연구원은 비교 대상 국가의 달러 대비 환율, 주가지수, 10년물 국채금리의 일일변화를 기반으로 분석모형을 추정한 후 도출된 조건부 표준편차를 변동성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달러 약세라는 동일 조건에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제 펀더멘탈 약화 등 요인으로 원화 절하 압력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2000년대 초 IT 버블 붕괴(0.69%) 시기를 제외하고는 변동성이 작은 편이었다. 금융위기 당시 한국의 변동성은 4.57%까지 확대됐으며 코로나19 위기 때는 1.41%, 유럽 재정위기 때는 1.23%였다.
미국 관세 충격에 따른 코스피 지수 변동성은 2.61%로, 과거 위기 대비 안정적이었다.
과거 위기 기간에 코스피 지수 변동성은 2.69%(IT 버블 붕괴)∼5.62%(금융위기)로, 미국 관세 충격이 과거 위기 대비 주가 변동을 크게 확대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국과 비교해보면 선진국(3.13%)보다는 변동성이 작았고, 아시아 신흥국(2.18%)보다는 큰 편이었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미국 관세 충격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은 과거 대비 안정적인 상황으로 판단된다"면서도 "아직 위기가 진행 중임을 고려하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외환시장을 중심으로 추가 변동성 확대 예방을 위한 대응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尹 접견한 신평 "1.7평 독방, 생지옥…정치보복에 美 개입해달라"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