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이 지속화하면서 지난 1분기 국내 건설 공사 실적이 지난해 동기 대비 20% 이상 급감하며 외환 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이 발표한 상반기 건설지표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1분기 건설기성은 26조8천659억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2%(7조2천172억원) 줄어든 규모다.
건설 기성이란 현재 진행하고 있는 공사 실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현행 지표 중 하나다.
전년 동기 대비 20% 공사 실적이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8년 3분기 24.2% 감소 이후 27년여만이다.
지난해 상반기(1분기 4.0%, 2분기 3.1%) 하락세를 이어오던 건설기성은 3분기 9.1%까지 떨어지며 낙폭이 커졌고, 4분기 들어 9.7%까지 내려갔다. 이후 올해 들어 두자릿수까지 하락폭이 커졌다.
박실장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큰 변동성이 없는 지표인 건설기성 감소폭이 커진 것은 그만큼 건설 경기가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짚었다.
박 실장은 "정부의 재정 조기 집행 등에 따라 공공물량이 전체 건설경기 부진 일부를 상쇄해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공공과 민간, 토목과 건축 전체 부문에서 큰폭의 감소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건설투자도 10% 이상 줄어들며 외환위기 이후 최대 낙폭이 예견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9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건설투자는 상반기(-11.3%), 하반기(-1.1%) 모두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1998년(-13.2%)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같은 건설 지표를 종합해보면 건설경기 회복세가 내년 이후에나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아울러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회복세가 V자 형태로 가파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적어 시장에서의 회복 체감도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박 실장은 "건설시장 내 물량 자체가 부족하다는 점에 정부를 중심으로 추경 편성 등을 통한 건설시장 활성화가 긴요하다"며 특히 시장 내 양극화가 심화하는 만큼 수도권보다 지방, 대기업보다 중소건설업체가 실질적 혜택을 받는 방향으로 추경을 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