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정체에 내수 약세가 겹치면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2일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발표한 '경제 동향과 전망'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낮고 최근 10년 평균(2.5%)을 하회하는 수치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미국발 통상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0.2%에 그치고, 하반기는 정책 효과에 힘입어 1.8%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 회복 제약 요인으로 고물가·고금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지목됐다.
경상수지 흑자는 작년보다 100억달러 감소한 890억달러에 그칠 전망이다.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철강, 기계 등 주력 품목의 부진과 미국의 고율 관세정책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다.
이승석 한경연 책임연구위원은 "트럼프 정부의 급격한 관세정책 변화 등으로 상반기에는 경기 흐름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의대 신입생 10명 중 4명은 여학생… 의약학계열 전반서 여성 비율 상승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