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앱에서 예약할 수 있는 통합교통서비스(MaaS) 활성화를 위한 첫 포럼이 25일 서울에서 열린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4일 "25일 서울 'Vertex Korea' 회의실에서 '제1회 MaaS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MaaS는 철도·버스·항공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운행 시간, 좌석 현황, 예약·결제 정보 등을 통합해 공공·민간 플랫폼 사업자 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철도·버스 등 이용자가 각 수단별로 여러 앱을 설치한 후 회원가입, 예약·결제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향후 통합교통서비스가 활성화되면 하나의 앱 내에서 다양한 교통수단 예약을 한 번에 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포럼은 MaaS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계기관간 협업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전문가들이 모여 정책 방향을 정립해 나가고자 마련했다.
정진혁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의장을 맡으며, 철도·버스·공유차·택시 등 운송업계와 교통분야 데이터를 중계하거나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사, 연구기관 등 산·학·연·관 24개 기관이 참여한다. 앞으로 분기별로 포럼을 열어 MaaS와 관련된 정책·동향 등을 서로 공유하고, 데이터 표준화 및 수단간 연계 등 통합교통서비스 발전을 위한 주제도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25일 열리는 첫 포럼은 MaaS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기술·정책적 과제 등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참석자의 자유토론 및 질의·응답 방식으로 진행한다.
주제발표는 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정보 표준화 필요성 및 방안'을 주제로 현재 운송사별로 서로 다른 전산 정보의 관리현황과 정보 표준화 및 품질 유지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며 주체별 역할 등을 소개한다. 한국도로공사는 '교통수단간 승·하차 연계 방안'을 주제로 승객의 편리한 승하차 연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의 공유 및 시설 구축 방안 등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관계기관별 MaaS 추진현황 및 방향을 공유하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관별 역할 및 지원·협력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모빌리티 분야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용자들의 수요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MaaS는 이에 대응해 국민의 이동 편의를 혁신할 수 있는 서비스"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MaaS 분야의 관계기관 및 전문가가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해 MaaS가 더욱 활성화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