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산업 분야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전기요금의 납품대금 연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더불어민주당 오세희 의원과 함께 지난달 14∼23일 5대 뿌리업종 중소기업 700개를 대상으로 정책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90.0%가 납품대금 연동대상에 전기료를 포함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5대 뿌리업종은 ▷주조산업 ▷금형산업 ▷열처리산업 ▷표면처리산업 ▷소성가공산업을 뜻한다. 뿌리업종 기업들은 최근 3년간 가파르게 상승한 전기료가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 산업용 전기료가 고압A 기준으로 2022년 1분기 105.5원/kWh에서 지난해 4분기 174.0원/kWh로 인상됐다.
조사 결과 제조원가 대비 전기료 비중이 10% 이상인 기업은 81.4%에 달했다. 열처리 산업이 99.3%로 가장 높았고, 표면처리 산업 85.7%, 주조산업 79.3%, 금형산업 75.7%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열처리 산업과 표면처리 산업에서 전기료 비중이 20% 이상이라고 응답한 업체 비율이 각각 81.4%, 60.0%에 달했다.
산업용 전기료 인상에 대해 중소기업의 90.1%는 '경영상 부담을 느꼈다'고 답했고, 76.4%는 전기료 인상분을 위탁기업에 요청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납품대금에 전기료 인상분이 반영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특별한 대처방법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70.1%로 가장 많았고, '거래 지속을 위해 원가 이하로 납품'이 25.4%로 뒤를 이었다.
납품대금 연동제에 전기료가 포함되면 이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77.3%에 이른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납품대금 연동 대상이 '주요 원재료'로 돼 있어 전기를 주요 원재료로 사용하는 뿌리업종은 납품대금 연동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에너지비를 연동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는 제값 받고 납품할 수 있는 최소한의 권리를 회복하자는 목소리"라며 "국회 차원의 입법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납품대금 연동제=납품하는 물품의 주요 원재료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변동하면 이에 연동해 납품대금을 조정하는 제도.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