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측과 접촉면을 늘리는 한편 비서실과 부처에도 만반의 준비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호관세 조정 등 통상협상'과 '주한미군 역할 및 방위비 분담 협상' 등 양국이 당면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시급하지만 앞선 두 차례 다자외교 무대에서는 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면은 이뤄지지 않았다.
30일 정치권에선 7월 중, 늦어도 8월 중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거나 오는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무대를 활용해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을 조만간 방한할 것으로 예상되는 마크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협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통령실과 외교부 등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7월 넷째 주를 잠정 목표로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통령비서실은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양국이 정상회담 조기 개최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일정을 맞춰보는 상황"이라며 "다만,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일정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진행된 주요 7개국(G7)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기간 중 한미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과 중동발 변수로 만남이 성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7월 초 방한할 것으로 기대되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루비오 장관은 7월 10일부터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장관급 회의 참석을 위해 아시아를 방문한다. 여권 관계자는 "루비오 장관이 ARF 참석 전 방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첫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양국 간 최대 현안인 통상·무역 협상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등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조셉 윤 미국 대사대리는 지난 27일 대한민국 헌정회 주최 오찬 간담회에서 "조만간 미국 본국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해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안다"면서 ▷관세 문제 ▷주한미군의 역할 ▷방위비 분담 등을 양국 간 현안으로 열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金총리, 李냉부해 출연에 "대통령 1인다역 필연적…시비 안타까워"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