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자금 사정 악화가 어음 부도율의 급등으로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전국 어음 부도율(전자결제 제외)은 0.4%를 기록했다. 올해 2월(0.04%)에 비해 석 달 만에 10배로 치솟은 수치다. 이는 지난 2015년 3월(0.41%)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기업의 지급 불능 사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어음 부도는 기업이 발행한 약속어음이나 환어음의 만기일에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지 못해 결제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이 같은 부도 사태가 반복될 경우, 해당 기업은 어음거래 정지 처분을 받게 되며, 심할 경우 법적 파산 절차로 이어질 수 있다.
5월 중 어음 부도 건수는 1천장으로 예년 수준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부도 금액은 7천880억 원에 달했다. 이 또한 2023년 5월(7천929억 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기업들의 자금 사정 악화는 대출 연체율 수치에서도 드러났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6월 말 기준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평균 0.11%로, 지난해 같은 기간(0.02%)보다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44%에서 0.55%로 증가했다. 특히 5월 말에는 대기업 연체율이 0.19%, 중소기업은 0.71%까지 치솟았다가, 부실채권 매입 및 상각 등의 영향으로 6월 들어 다소 하락한 상태다.
이처럼 연체와 부도 증가가 맞물리면서 법인 파산 신청 건수도 증가 추세다. 대법원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동안 접수된 전국 법인 파산 사건은 총 92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10건)보다 13.8%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