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태원 "AI가 유일한 희망…중국과 경쟁 위해 일본과 연대해야"

대한상의 하계포럼 기자간담회서 제조업 위기 상황 진단
상법 개정에 대해선 "받아들이되 고치거나 건의할 것", "앞으로 과연 자사주 사겠느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지난 17일 경주에서 대한상의 하계포럼을 계기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지난 17일 경주에서 대한상의 하계포럼을 계기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공지능(AI)으로 제조업을 일으키지 못하면 10년 후 상당 부분에서 퇴출당할 겁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지난 17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기자 간담회에서 AI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제조업 실력이 업그레이드되다 보니 우리가 만드는 거의 모든 물품과 경쟁을 하게 됐다. 반도체도 추격의 속도가 더 빨라져서 거의 턱밑까지 쫓아온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위기 상황이 초래된 데는 미래 준비를 소홀히 한 '안일함'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사태가 이렇게 되리라고 생각한 건 10년 전부터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이 새로운 산업 정책과 전략을 내놔야 한다고 여러 번 이야기했다"며 "그러나 불행히도 별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잘 되고 돈 잘 버는데 뭐' 이런 개념들이 있었다. 전략의 부재"라고 비판했다.

이어 "희망은 AI에 걸 수밖에 없다"며 "이 AI마저도 중국이 쫓아오고 적용하는 속도가 우리보다 빠르다는 게 더 안 좋은 뉴스지만, 아직은 초기니까 우리도 빨리 따라잡아서 경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과의 협력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우리는 데이터 사이즈가 안 된다. AI를 잘하기 위해서라도 일본과 손잡고 서로 데이터 교환을 해야 한다"며 "양국의 데이터를 섞고 쓸 수 있어야 조금이나마 경쟁력을 가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상법 추가 개정 논의에 대해선 "개정이 되면 할 수 없다. 많은 사람이 믿고 그렇게 개정한다면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실제로 운용을 해봐야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고, 그걸 고치거나 대책을 내도록 건의하면서 흘러가야 하지 않겠나. 대응을 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도 반대보다 후속 대응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다만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자사주를 쓸 수 있는 자유가 어느 정도 있었는데 이게 줄어든다면 자사주를 살 사람이 앞으로 이걸 과연 사겠느냐"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