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소버린 AI' 대응전략 논의…칩부터 클라우드까지 산업 연계

산·학·연 전문가 한자리에…AI 로봇수도 실현 로드맵 공유

대구시는
대구시는 '소버린 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산·학·연과 함께 지역 맞춤형 AI 전략 수립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24일 오후 산격청사 대회의실에서 '소버린 AI 시대 지역대응전략 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AI) 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역 전략 마련에 나섰다.

'소버린 AI(Sovereign AI)'란 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각 국가가 자국의 데이터, 인프라, 문화와 제도에 기반해 독자적인 AI를 개발·운영하는 개념이다. 최근 세계 각국이 AI 주권 확보를 위해 경쟁하는 가운데, 대구시도 '지역 맞춤형 AI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간담회에서 김현덕 경북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칩-투-클라우드(Chip-to-Cloud) AI 전략'을 발표하며, 칩 설계부터 데이터 처리와 보안을 담당하는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아우르는 지역 AI 생태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지역의 반도체·ICT 산업과 연계한 AI 기술 집적화 전략이 주목받았다.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경권 연구본부 변우진 본부장은 'AI 로봇수도 대구 추진 방향'을 소개하며, 핵심 전략과 로드맵을 제시했다. 변 본부장은 "대구는 기존의 로봇·의료·모빌리티 산업 기반을 토대로 AI와 융합한 차세대 성장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종합토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해 AI 정책 방향, 기술변화에 대한 지역 산업 대응, 협력 모델 구축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AI 대변혁기에 대응하는 지역 고유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홍성주 경제부시장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실질적인 대응전략 수립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대구를 AI 산업 중심 도시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