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인 Geo-AI 기반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8월부터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Geo-AI는 공간적(지도·건물·교통 등), 시간적(과거·현재·미래 등) 요소에 대한 이해와 분석으로 예측 및 응답을 하는 공간정보에 특화된 AI 기술이다.
Geo-AI는 기존 챗봇형AI와 달리 ▷3차원 지도 기반 시각화 응답기술 ▷공간적 맥락과 관계를 이해하는 추론 능력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융합 활용하는 지능형 기술을 갖췄다.
예를 들어 "지역에 유해시설이 없을까?"라는 질문에 공공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시설을 3차원으로 지도 위에 시각화해서 보여준다. 또한 "출근 시간에 이 구간이 왜 막히지?"라는 질문에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종합 분석해 객관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논리적인 응답을 제시한다.
공공 도시개발 계획과 도시 인프라, 교통, CCTV, 기후 데이터 등 다른 형식의 공간 정보를 분석해 신뢰성 높은 답변을 제공한다.
한 부동산 스타트업은 Geo-AI를 통해 사용자 조건에 따라 부동산 매물을 추천하고 상담까지 연결하는 AI중개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반 국민들은 노부모를 위한 병원이 가까운 아파트, 반려견과 함께 살기 좋은 지역 등 개인 생활 조건에 맞는 부동산 매물을 찾을 수도 있다.
국토부는 Geo-AI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 성과를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에서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각종 테스트와 시범 운영을 거쳐 2027년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부동산, 자율주행 및 재난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일상을 더 편리하게 만드는 중요한 첫걸음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尹 접견한 신평 "1.7평 독방, 생지옥…정치보복에 美 개입해달라"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PK 간 李대통령 "가덕도 걱정 마시라"…TK신공항 '침묵' 서운함 쏟아져
'휴가 반려' 이진숙 "대의에 목숨 걸어본 자만 돌 던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