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시특집_기고]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나에게 맞는 최적의 전형 찾아야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학생부 교과 위주 전형'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모든 대학이 100% 교과 성적만을 활용하지는 않는다. 즉, 어떤 대학은 교과 성적과 수능을, 또 어떤 대학은 교과 성적과 면접 또는 교과 성적과 서류를 두루 활용한다.

다시 말해서 대학이 전형별로 어떤 전형요소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어떤 평가 기준과 일정으로 전형을 운영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모두 '세부 전형방법'의 입시요강에 담겨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이 세부 전형방법 안내 페이지를 통해 각각의 전형이 어떤 전형요소를 활용하는지, 반영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는지, 한다면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 등을 확인하여 이를 지원 전략 수립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먼저 수도권 주요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은 대부분 지원 자격에 제한이 있는 고교추천(지역균형) 전형으로 선발한다. 고교 추천 성격의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이나 논술전형과 달리 지원자의 자격 조건을 까다롭게 설정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모집요강을 볼 때 지원 자격 부분을 우선적으로 살펴야 한다. 즉 교과 성적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대학별 지원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지원 자체가 불가능하다. 아울러 올해는 신설 학생부교과전형이 늘어난 만큼 대학별 자격 요건 제한이 실질적인 지원 경쟁률 및 입시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모든 학생부교과전형의 핵심 전형 요소는 '교과 성적'이다. 문제는 대학마다 지원자의 교과 성적을 평가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점이다. 똑같이 '교과 100%'의 전형방법을 적용하는 대학이라 하더라도, 어떤 과목을 어느 비중으로 어떻게 산출하느냐에 따라 내 성적의 유·불리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부교과전형을 목표로 한다면 이 부분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이 많으며, 그 기준도 높은 편이다. 그러다 보니 실질적인 수능 최저 충족률은 낮은 경우가 많다. 반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교과전형은 상대적으로 경쟁률 및 입시 결과 모두 높게 형성되는 편이다. 수험생 자신의 수능 경쟁력에 따라 지원 가능한 교과전형의 범주가 달라지는 만큼, 수험생은 수시 모집요강 내 교과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 내용을 토대로 자신의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따져보아야 한다. 이때 단순히 최저 반영 여부 및 등급의 합만 살피는 것이 아니라 수능 필수 응시영역 및 지정 선택과목, 탐구 평균 산출 방식, 제2외국어/한문 반영 여부 등 세밀한 부분까지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자신의 수능 경쟁력을 다각도로 검토하여야 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