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 신청사 건립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빚을 내서 지을 수 없다거나, 시장이 없으니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 설계 공모 당선작에 대한 불만까지 나왔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다행히 대구시는 이런 논란을 일축하고 2030년에 반드시 준공하겠다고 밝혔다.

15일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시청 신청사 설계안을 둘러싼 대구 달서구와의 갈등과 관련,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거쳐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확정된 설계안"이라고 강조했다. 신청사 설계 공모는 예산·기준 면적·호화(豪華) 청사를 지양하는 정부 방침 등 여러 제약(制約) 아래 진행됐다는 것이다. 신청사 설계안 절차 중단 요구(달서구)를 반박한 셈이다. 앞서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공개된 설계안은 높이도, 디자인도, 상징성도 담지 않아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청사 관련 논란은 한두 번이 아니다. 당초 대구시는 지난해 신청사를 착공, 2026년 준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신청사 건립 기금 대부분을 썼고, 준공은 2년 뒤로 미뤄졌다. 홍준표 전 시장은 취임 직후 "빚을 내서 짓지는 않겠다"며 사업 중단 뜻을 내비친 데 이어 신청사 부지(敷地)의 일부를 팔아서 청사 건립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가 거센 반발을 샀다. 결국 대구시는 '다른 공유(公有)재산 매각'으로 방향을 틀었다. 준공은 2030년으로 또 연기됐다. 지난 5월엔 배광식 북구청장이 "내년 지선(地選)을 통해 대구의 내일에 대한 시민의 생각이 담긴 신청사를 지어야 한다"며 사업 중단을 주장했다.

신청사 건립은 청사만 새로 짓는 게 아니다. 옛 도청 부지 개발은 물론 도심의 공간(空間) 변화를 통해 대구의 미래를 설계하는 핵심 현안이다.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 시는 이를 사업에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정치적이거나 지나친 논란으로 사업이 지체되어서도 안 된다. 신청사 건립안은 내년 10월 중앙투자심사(2단계)를 통과해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업비도 늘어난다. 4년이나 지연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