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업무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며 평균 근로시간을 줄이고 생산성 향상 효과도 확인됐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18일 발표한 가계조사에 따르면 국내 근로자의 63.5%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업무 목적 활용률만 보더라도 51.8%에 달해 미국(26.5%)의 두 배를 넘었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19일부터 6월 17일까지 전국 만 15세에서 64세 사이 취업자 5천512명을 대상으로 AI 인식과 정책 선호 등을 분석했다.
근로자들은 주당 평균 5~7시간을 AI 사용에 할애했고, 업무시간은 평균 3.8%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40시간 기준으로 약 1.5시간이 절약된 셈이다. 경제 전체 생산성 향상 효과는 1.0%로 추정됐다.
활용에는 뚜렷한 격차도 나타났다. 20대 활용률은 67.5%로 가장 높았으나 50대 이상은 35.6%에 그쳤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자가 72.9%에 달했지만, 고졸 이하는 38.4%에 머물렀다. 직업별 업무시간 단축 효과는 전문직 2.8%, 사무직 1.9%로 뚜렷했으나 단순노무직은 0.2%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AI 확산이 숙련 격차를 줄이는 '평준화 효과'를 불러오고 있으며, 지식 노동을 넘어 향후 육체 노동으로도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48.6%는 AI가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으며, 32.3%는 'AI 발전 기금' 참여 의향을 밝혀 5년간 최대 38조원의 기금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