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 식품업계, 수산물·농산물 관세 예외 요구 확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식품업계가 수산물, 과일, 채소 등 주요 품목에 대한 예외를 추진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수산협회(NFI)는 "수산물은 소비량의 85%를 수입에 의존한다"며 전면적인 관세 면제를 요구했다. 미국은 새우 소비량의 90%를 수입하고, 그중 3분의 1을 인도에서 들여오고 있어 관세 50% 부과 시 가격 폭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도 과일·채소에 대한 관세 제외를 요구했다. 미국은 연간 360억달러 규모의 과일·채소를 주로 멕시코, 페루, 캐나다에서 수입하고 있다. 식품산업협회(FMI)는 "오이 수입 비중이 1990년 35%에서 90%로 증가했다"며 관세 부과 시 온실 재배 확대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현재로서는 관세 면제 신청 절차가 없어 예외 인정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일부 식품은 무역 협정에 따라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실제로 브라질산 오렌지주스와 브라질너트는 관세 예외가 인정됐고,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품목도 관세 유예 대상이 됐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커피, 망고, 파인애플 등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에는 예외를 두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