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위층이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를 모방한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는 등 새로운 소비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모습이 외국인 관광객들에 의해 포착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북한을 방문한 러시아인 관광객, 스웨덴 출신 마라톤 선수, 중국인 유학생 등 외국인 3명이 각각 촬영한 영상을 입수해 "북한에 화려한 신(新)풍경이 펼쳐지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는 "세계에서 가장 고립되고 권위주의적인 국가인 북한이 어떻게 새로운 소비 문화를 육성하고 있는지 엿보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NYT에 따르면 북한 수도 평양에선 서양 다국적 기업을 베낀 '짝퉁' 버전이 쉽게 목격된다. 중국인 유학생 A씨는 "평양에는 가구, 주방용품 등을 판매하는 쇼핑몰인 '랑랑 애국 금강관'이 있는데, 외국인들은 이곳을 '북한판 이케아(IKEA)'라고 부른다"며 "매장 구조와 제품이 실제 스웨덴의 DIY 가구 매장 이케아와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매장에는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스타벅스 리저브'를 따라한 '미라이 리저브'라는 카페도 입점해 있다. 스타벅스 리저브의 '별 로고'는 평양에서 알파벳 'M'자로 변형됐다.
A씨는 "계산은 미국 달러로 지불했고, 석 잔에 25달러(약 3만5천원) 정도 했다"며 "평양의 일반적 물가에 비해 비싼 편이라고 느껴졌다"고 매체에 밝혔다. 이케아와 스타벅스는 "북한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QR코드를 이용하는 결제방식도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평양 마라톤 대회에 참가했다는 스웨덴 출신 요한 닐랜더는 NYT에 "물과 주스를 파는 노점상도 현금보다 QR코드 결제를 선호했다"며 "북한 주민들도 영상, 메시지, 택시, 쇼핑 등 서방과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NTY는 평양의 서구화가 북한이 유엔 제재를 받지 않는 관광산업을 통해 외화를 벌기 위한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의 관광객 통제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다.
NYT는 "2020년 이후 북한은 해외(서구) 문화 단속을 위해 엄격한 법률을 제정해 왔는데, 관광산업은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의 권위 유지에 필수적인 정보 통제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