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러시아 원유 사지마"…美, 인도에 보복성 50% 관세 부과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인도산 제품에 적용한 보복성 50% 관세가 27일(현지시간)부터 부과되기 시작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이날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27일 오후 1시 1분, 인도 표준시 기준 27일 오전 9시 31분)부터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5일 이 같은 내용의 초안을 공고한 바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공고문에서 "27일 오전 0시 1분 이후 소비 목적으로 수입하거나 (보세) 창고에서 출고되는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가 부과된다"고 밝혔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과 상호 교역 프로그램 대상 품목 등에는 50%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지난 4월 미국은 인도에 상호관세 26%를 부과했고 이후 양국은 5차례 협상을 진행했다. 하지만, 미국산 농산물 등에 부과하는 관세 인하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인도가 중단하는 문제를 놓고 양국이 이견을 보여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기존보다 1% 낮춘 상호관세 25%에 보복성으로 25%를 더한 총 50% 관세를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늘려 우크라이나 전쟁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가 경쟁력이 높다며 이를 사지 말라는 압력은 정당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블룸버그는 50% 관세는 미국이 아시아 교역국에 부과한 세율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빠르게 성장하는 주요 경제국인 인도가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 무역에서 침체기를 맞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인도 경제가 수출보다는 내수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50% 관세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해 인도의 대미 수출액은 874억 달러(약 121조9천억원)로 미국은 인도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다. 그러나 이는 인도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에 불과한 수준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