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태극기는 안 보이고 중국 국기만"…서울 초교 오성홍기 논란, 해명은?

서울 용산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중국 국기
서울 용산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중국 국기 '오성홍기'가 게양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온라인 커뮤니티

서울 용산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중국 국기 '오성홍기'가 게양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해당 학교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사진이 확산되고 민원이 제기되자 국기를 내리고 해명에 나섰다.

2일 A초등학교는 교직원 명의로 공식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최근 다문화 국기 게양과 관련해 물의를 일으킨 점 사과드린다"며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의 국기를 태극기와 함께 한 달 주기로 교체해 게양하고 있는데, 외부에서 사진 찍는 각도에 따라 태극기와 함께 게양된 모습으로 찍히지 않아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듯하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중국 국기는 2주 게양하고 내렸다"고 했다.

앞서 전날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이 학교 내부에 오성홍기만 걸려 있는 듯한 사진이 퍼졌다. 사진 속 태극기는 보이지 않고 오성홍기만 드러나 있어 "화교 학교가 아닌데 왜 중국 국기가 걸려 있느냐" "만국기라면 이해하지만 한 나라 국기만 걸린 건 문제가 있다" "중국이 대한민국을 지배했다는 의미냐" 등 부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일부 네티즌은 학교 측에 민원을 넣기도 했다.

학교 측은 다문화 교육 활동 차원에서 국기를 게양해왔다고 설명했다. 학교 측에 따르면 현재 재학생 328명 중 일본·대만·우즈베키스탄·필리핀·베트남·중국 등 6개국 출신 다문화 가정 학생 41명이 재학하고 있다.

학교 측은 "본교는 다문화 세계시민교육의 일환으로 매달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의 국기를 태극기와 함께 게양하고 있다"며 "그동안 캄보디아, 대만,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일본 국기 등을 한 달씩 게양해 왔다"고 했다. 또 "본교에서는 해당 다문화 국기 게양 활동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했다.

앞서 지난 7월 제주 우도의 한 해변에 최근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설치됐다가 철거되는 일이 발생해 온라인에서 논란이 인 바 있다. 우도의 한 해안도로를 따라 줄줄이 꽂힌 오성홍기는 앞서 근처를 지나던 관광객들의 카메라에도 담겨 '엑스(X·옛 트위터)'와 '스레드' 등 SNS에 올라왔다.

당시 조선족으로 추정되는 근처 카페 직원이 이를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직원은 면사무소 측에 "우도에 중국인들이 많이 오니까 포토존(사진 명소) 차원에서 오성홍기를 설치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시 해양수산과 관계자는 현장을 방문 조사해 원상회복 명령을 내리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변상금을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