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단이 국가산단 중대사고 발생 전국 2위라는 불명예를 안으면서, 창원국가산단에서의 산업재해 근절을 위한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제공한 자료를 보면, 최근 5년(2021년 – 2025년8월까지)동안 전국 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중대 사고는 총 110건으로, 연평균 22건으로 집계된다. 그 중 사망자는 총 93명에 이르고 재산피해규모도 287억 원에 달한다.
특히 창원국가산단은 중대재해사망자 12명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 가장 많은 사고를 낸 울산 미포산단의 경우, 사망자 14명이었고, 창원산단을 이어 전남 여수산단은 사망자 11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동안 사망자와 부상자를 합친 수는 총 173명에 이른다.
자료를 보면, 중대사고는 주로 특정 산단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5년동안 울산미포산단이 18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창원산단이 14건, 전남여수산단이 11건 순이었다.
이렇게 국가산단에서 중대사고가 이어지는 제일 큰 원인은 국가산단 특성상 조선, 석유화학, 철강 등 중화학·제조업 등이 집중되어 있어서 사망 발생률이 높았고, 기타 노후 시설과 외주 작업 증가도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허 의원은 "국가산단은 한국 산업의 심장이지만, 최근 5년간 110건의 중대사고가 이어진 것은 구조적 문제"라며 "정부와 산단 관리기관은 화학사고 뿐만 아니라 추락과 협착 같은 기본 안전까지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원산단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관계자는 "기계 가공 분야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절단, 추락, 끼임 등의 사고는 산단의 산업 환경 특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창원산단의 경우, 대기업 중심 단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론 입주 중소기업이 3200여개에 달하며 50인 이하 기업도 9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소기업 입주 비율이 상당히 높다. 이들 소규모 사업장의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사고가 생긴 것 같고, 성산구 귀곡동에 조성된 철강단지 역시도 산업 특성상 위험노출률이 상당히 높아 영향이 있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현 정부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기업의 중대재해 예방을 수차례 강조해오고 있지만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중대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국가산단의 안전대책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재점검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홍준표 "與의 내란재판특별부는 위헌…'이재명 총통제' 말 나올 수도" 맹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