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이 열린 톈안먼 망루의 세 주인공은 단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그리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었다. 세 정상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 자유진영을 향해 "우린 똘돌 뭉쳤다"는 것을 과시하듯 보여줬다.
열병식에서 시진핑 주석 만큼이나 전 세계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인물이 김정은 위원장이다. 사회주의 종주국 러시아와 G2(세계 양대 국가)인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을 뿐 아니라 은둔형 지도자에서 세상 밖으로 당당히 나온 북한 지도자로 전 세계에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김 위원장은 3일 오전 톈안먼 망루(성루)에 올라 열병식을 참관하는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으로 가까이에서 대화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은 자리에 앉은 채로 서로에게 몸을 기울이며 대화에 집중하는 것처럼 보였다.
앞서 짙은 회색 중산복 차림의 시 주석은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고궁박물관 내 단먼(端門) 남쪽 광장에서 외빈들을 영접할 때 김 위원장이 등장하자 "환영합니다, 오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했다. 김 위원장은 금색 넥타이에 양복 차림이었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 푸틴 대통령은 망루에 오르기 전 레드카펫을 나란히 걸으면서 담소를 나눴다. 망루에 입장하면서 세 정상은 차례로 중국의 항일전쟁 참전용사들과 악수를 나눴다. 망루에서는 탈냉전 이후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나란히 서는 역사적 장면이 연출됐다.
외신들은 3일 북중러 정상들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동시 입장을 전하며, 전반적으로 '중국의 반(反)서방 도전장'으로 평가했다. 로이터통신은 "시 주석이 중국을 미국 이후의 국제 질서의 관리자로 만들려 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성장하는 무력과 지정학적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세 정상의 공동 등장이 "굉장히 인상적"이라고 전했다.
한편, 북중러 3자 회동 이후 한반도에는 신냉전의 기류가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한국의 입장에 더욱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냉정하게 평가하자면, 고래 싸움에 새우등 신세가 우려된다. 북한은 미국으로부터도 이미 존재를 인정받고 있지만 한국은 중국과 러시아의 눈치를 보면서, 미국이 하자는대로 따라야 할 처지에 놓였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존폐 기로…9월 대구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