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4일 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을 초청한 자리에서 노동 유연화를 언급하며 노동과 기업이 대립 아닌 상생의 관계를 만들어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양대 노총 위원장을 용산 대통령실에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이 자리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문진영 대통령실 사회수석도 함께했다.
이날 면담에서 이 대통령은 "임금 체불, 산업재해 문제는 친노동, 친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인 인권과 상식의 문제"라며 "노동 존중 사회와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상호 대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충분히 양립 가능하고 또 양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요새 내가 산재 얘기하고 체불임금 얘기, 이런 얘기를 좀 많이 했더니 너무 노동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데가 있던데,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노란봉투법 시행에 따른 기업들의 우려를 언급했다. 그는 "법원에서 인정했던 내용을 입법화한 것일 뿐, 기업이 지나치게 불리해지는 일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노동계가 고용 문제에서 보다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유연성이 전제되지 않으면 기업은 비정규직 일자리만 늘릴 수 있고, 결국 전체 노동자들이 손해를 본다"며 "이미 좋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하청·외주가 늘어나는 현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 문제를 터놓고 논의해야 한다"며 "노동과 경영의 대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과제는 포용과 통합이다. 노동자와 사용자 측이 자주 만나 오해를 풀고 적대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도 양대 노총이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경사노위도 조직을 못하고 있고, 위원장도 선정을 못하고 있다"며 "그 문제도 좀 한 번 같이 논의하면 좋겠다. 같이 논의해서 실제 대화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이어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왜 안 보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