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요즘 산재 얘기 좀 했더니 노동편향적이라 봐…노동·기업 양립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대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왼쪽),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며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대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왼쪽),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며 손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4일 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을 초청한 자리에서 노동 유연화를 언급하며 노동과 기업이 대립 아닌 상생의 관계를 만들어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양대 노총 위원장을 용산 대통령실에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이 자리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문진영 대통령실 사회수석도 함께했다.

이날 면담에서 이 대통령은 "임금 체불, 산업재해 문제는 친노동, 친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인 인권과 상식의 문제"라며 "노동 존중 사회와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상호 대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충분히 양립 가능하고 또 양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요새 내가 산재 얘기하고 체불임금 얘기, 이런 얘기를 좀 많이 했더니 너무 노동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데가 있던데,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노란봉투법 시행에 따른 기업들의 우려를 언급했다. 그는 "법원에서 인정했던 내용을 입법화한 것일 뿐, 기업이 지나치게 불리해지는 일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노동계가 고용 문제에서 보다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유연성이 전제되지 않으면 기업은 비정규직 일자리만 늘릴 수 있고, 결국 전체 노동자들이 손해를 본다"며 "이미 좋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하청·외주가 늘어나는 현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 문제를 터놓고 논의해야 한다"며 "노동과 경영의 대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과제는 포용과 통합이다. 노동자와 사용자 측이 자주 만나 오해를 풀고 적대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도 양대 노총이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경사노위도 조직을 못하고 있고, 위원장도 선정을 못하고 있다"며 "그 문제도 좀 한 번 같이 논의하면 좋겠다. 같이 논의해서 실제 대화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이어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왜 안 보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