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 안전보장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겠다는 방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푸틴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서방 안전보장군을 정당한 타격 목표물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해온 종전 구상을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하루 전인 4일 '의지의 연합' 정상들과 회의를 열어 양국의 휴전 또는 평화 달성 이튿날 서방 26개국이 참여하는 안전보장군을 파병하기로 합의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보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종전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18일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유럽 각국 정상들과의 회담에서 나토식 집단방위와 유사한 형태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방안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군의 직접 배치에만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을 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을 들인 푸틴-젤렌스키 양자 회담도 사실상 결렬되는 분위기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준비가 다 됐다면서도 "최적의 장소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라고 말하는 등 사실상 회담에 임할 마음이 없다는 사실을 내비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스트리아, 바티칸, 스위스, 튀르키예, 걸프 국가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나 러시아는 이를 "과도한 요구"라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평화 협상을 위해 설정과 유예를 반복한 데드라인도 모두 만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2주 후에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관련 진전이 없으면 '매우 중요한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 기한인 이날까지 협상과 관련해서는 거의 한 발짝도 떼지 못한 상황이다.
오히려 러시아는 이 기간 우크라이나에 대해 여러 차례 공습을 감행해 유럽연합(EU) 대표부 건물이 피해를 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중국·인도 등과 사실상 반미 연대를 구축하고 있는 형세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종전 관련 진전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박지원 "김정은, 두번 불러도 안 보더라…우원식과 악수는 큰 의미"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