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해제 상징석, 독립기억광장 등 시설물이 들어서고 어린이집 등 경내 건물의 탄소중립화 사업이 속도를 내는 등 22대 들어 국회 곳곳이 '변신'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수억원~수십억원에 이르는 예산이 '국회의장 관심(?) 사업'에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10일 국회 운영위원회 측이 국회사무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2대 국회 출범 후 우원식 국회의장이 취임한 뒤 지난달까지 국회가 주요 시설 사업을 위해 마련한 예산은 94억5천236만원으로 나타났다.
우선 탄소중립형 국회 어린이집 조성 사업에 73억8천300만원이 편성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3월~내년 6월까지 시행되는 1차 사업에 40억6천100만원, 내년 1월~8월까지 이뤄질 2차 사업에 33억2천200만원이 집행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태양광발전설비 구입 및 설치(10억2천744만2천500원), 에너지저장장치 구입 및 설치(17억3천800만원) 등에 투입된다.
이 외 12·3 비상계엄 해제 상징석 조성에 1억2천336만원, 무명 독립 용사를 기리기 위한 독립기억광장 조성 공사에 15억4천600만원이 들었다.
탄소중립형 어린이집 조성의 경우 평소 기후 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우 의장이 취임한 이후 국회 어린이집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라는 지시에 따라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사무처 관계자는 "현재 진행되는 설계 작업이 끝나면 어떤 규모로 얼마나 전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지 구체적 데이터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비상계엄 해제 상징석, 독립기억광장 등 사업 역시 우 의장의 관심이 반영된 시설 조성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같은 국회의 변신을 두고 야권에서는 우 의장을 향한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국회의장은 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만한 시설을 건립해야 하지만, 기울어진 시각으로 본인을 위한 시설물 건립에 집중하는 것 같다"며 "최근 국회에서 정치적 논란이 있는 영화 상영회를 개최하는 등 야권에선 불만이 크다"고 했다.
박태서 국회의장실 공보수석비서관은 '우 의장이 치적 사업에 과도한 예산을 사용하는 게 아니냐'는 질의에 "치적 사업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고 국회의장으로서 할 일을 한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