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극항로 시대 대비, 초소형위성 개발 속도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희용 국민의힘 사무총장·매일신문 공동주최 국회 토론회
관측 정확도 높고 빠른 정보 처리 및 분석 가능해 항로 개척에 큰 도움
"장기 로드맵 수립 및 산학연 협력 강화로 앞서 나가야"

정희용 국민의힘 사무총장과 매일신문은 11일 오후 국회에서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토론회를 열었다. 김윤기 기자
정희용 국민의힘 사무총장과 매일신문은 11일 오후 국회에서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토론회를 열었다. 김윤기 기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인 북극항로 개척을 위해 해빙(海氷) 감시용 초소형 위성 개발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11일 국회 토론회에서 나왔다.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로 장기 로드맵 마련과 함께 관계 기관들의 협력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이자 국민의힘 사무총장인 정희용 의원(고령성주칠곡)과 매일신문은 11일 오후 국회에서 '북극항로 운항 지원을 위한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토론회'를 열었다.

초소형위성 사업의 추진 경위 및 준비현황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현철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장은 저비용 고효율의 초소형 위성이 해빙 감시에 최적의 수단임을 설명했다. 초소형 위성은 미항공우주국(NASA) 등이 공동 운영하는 대형 위성과 비교해 관측 성능이 높다.

김 센터장은 "초소형 위성을 활용하면 관측 데이터의 준실시간 영상처리 및 분석으로 북극해빙 이슈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 과정에서 북극항로 활성화에 대비한 물류망 구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선종호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가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에서도 소형 위성 개발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제언이 나왔다.

박진구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지금까지 우리는 해외 위성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의존해 극지를 관측해 한계가 있었다"면서 "북극 항로를 둘러싼 국제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이는 해결해야 할 핵심과제"라고 지적했다. 김해동 경상국립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장기적 로드맵을 수립해 다양한 탑재체 기술 개발에 산학연 관계 기관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고 조언했다.

정치권도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 관련 예산과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정희용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2025년 대한민국에 북극을 비추는 위성이 없어 다른 나라 위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연구에 제약이 된다는 말씀을 듣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관련 예산이 꼭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도 "북극항로가 열리면 그 물동량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부를 창출할 수 있다"며 "극지연구소의 영향력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