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기업들의 주식 및 회사채 발행을 통한 직접 자금 조달 규모가 전월인 7월 대비 9조원 가까이 감소하며 자금 시장이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가 잇따랐던 7월의 기저효과로 주식 발행이 80% 넘게 쪼그라든 영향이 컸다.
2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8월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주식·회사채 공모발행액은 총 19조5천15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28조2천484억원 대비 8조7천326억원(30.9%)이나 감소한 규모다.
단기 자금 시장인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발행 실적 역시 133조9천838억원으로, 전월보다 4조8천816억원(3.5%) 줄어 전반적인 기업 자금 조달이 경색된 형국이다.
자금 조달 시장 위축의 주된 원인은 주식 발행 급감이다. 8월 중 주식 발행 규모는 8천862억원으로, 전월(4조8천135억원) 대비 81.6%나 곤두박질쳤다.
이는 7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2조9천억원)와 포스코퓨처엠(1조1천억원) 등 대규모 유상증자가 있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8월 유상증자 발행액은 5천894억원으로 전월(4조 1천836억원) 대비 85.9%나 급감했다.
IPO 시장도 잠잠했다. 8월 중 IPO는 8건(2천968억원)으로 전월(10건, 6천299억원)보다 52.9% 줄었다. 대규모 IPO 없이 코스닥 시장 중심의 중소형 상장만 진행된 결과다.
회사채 발행 시장도 얼어붙었다. 8월 회사채 발행 규모는 18조6천296억원으로 전월(23조4천349억원) 대비 20.5% 감소했다. 일반회사채, 금융채,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이 모두 줄었다.
특히 일반회사채 발행액은 8천620억원으로 전월(2조9천780억원)보다 71.1%나 급감했다.
신용등급별로는 AA등급 이상(44.9%→55.0%)과 BBB등급 이하(5.4%→18.2%)의 발행 비중은 늘었으나, A등급(49.6%→26.9%) 비중은 크게 하락했다.
금융채는 16조9천409억원 발행돼 전월 대비 12.5% 감소했다. 은행채(-10.2%)와 기타금융채(-19.7%)가 모두 감소했지만, 금융지주채는 1조9천600억원 발행되며 30.7%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ABS 발행액은 8천267억원으로 전월 대비 24.5% 줄었다.
다만 발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환 규모 등을 고려한 8월 말 전체 회사채 잔액은 728조2천761억원으로, 전월(725조5천888억원) 대비 2조6천873억원(0.4%) 소폭 증가했다.
기업들의 단기 자금줄도 일부 막혔다. 8월 중 CP 발행액은 38조1천824억원으로 전월 대비 17.9% 감소했다. 반면, 단기사채 발행액은 95조8천14억원으로 3.7%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이에 따라 CP와 단기사채를 합한 전체 발행액은 133조9천838억원으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8월 말 기준 CP 잔액은 226조2천411억원, 단기사채 잔액은 76조2천368억원으로 집계됐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2~26일 뉴욕방문…대통령실 "한미 회담은 없어"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