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15년 만에 단행한 카카오톡 개편을 두고 이용자들의 불만이 거세지는 가운데, 내부 개발자들이 심경을 토로하는 글이 익명 커뮤니티를 통해 퍼졌다.
24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직장이 '카카오'로 인증된 한 이용자가 "개발자 욕은 하지 말아 달라. 시키는 대로 만들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라는 내용의 게시글을 올렸다. 해당 글은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에 대한 내부 구성원의 고충을 담고 있었다.
작성자는 "이번 업데이트는 여러 기획자가 만든 게 아니라 그냥 1인 기획 작품으로 봐달라"며 "우리가 하고 싶어서 이렇게 만들었겠나. (개발자는) 기획자, 디자이너가 시키는대로 만들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이어 "어딜 가나 개발자 욕뿐이라 주변 사람들 자존감이 박살나고 있다"며 "개발자 욕은 하지 말아 달라"고 토로햇다.
같은 회사로 표시된 다른 직원들도 잇달아 댓글을 달며 공감했다. 이들은 내부의 의사와 무관하게 개편이 강행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 구성원은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싹 다 반대했다. 반대하면 모지리 취급하면서 밀어 붙였다"며 "회의에서 의견도 내고, 사내 문서로 반대 의견을 써봤지만 돌아온 건 무시였다. 여기서 우리가 뭘 더 할 수 있나"라고 했다. 그는 "탈퇴한 사람 없으니 이대로 가보자는 마인드"라고 "한번 탈퇴하기 시작하면 큰일난다는 걸 이해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개편은 카카오톡 친구 탭 화면을 SNS 피드 형태로 바꾸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의 목록 방식 대신 격자형으로 구성된 화면에 친구들의 프로필 사진, 배경, 게시물 등이 노출되며, 동일한 영역에 광고까지 함께 배치된 형태다. 친구 소식과 광고가 같은 크기로 노출돼 시각적인 혼란은 물론, 지나친 상업성이라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이용자 불만은 앱 리뷰,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 중이다.
일부 네티즌은 2012년 5월 카카오 측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한 글을 다시 공유하고 있다. 해당 글에는 "카카오톡에 광고 넣을 공간도 없고 쿨하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다", "카카오팀이 그렇게 가난하지는 않다"며 유료화를 부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글은 카카오가 광고 정책을 확대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재조명돼 왔다.
일부 사용자들은 앱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하거나 구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나서고 있으며, 관련 정보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공유되고 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번 개편과 관련해 "업데이트 후 일부 이용자의 불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개편"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美에 28조 통화 스와프 얻은 아르헨…한국은 뭐하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 셀프 왕따 인증…뭣이 중헌지 정말 몰라"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실 "이 상황에 무슨 말하겠나"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