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전소된 96개 시스템, 대구 이전 구축까지 4주 예상"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무자격 업체, 배터리 운반 투입 보도는 사실과 달라"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데 약 4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1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복구돼 가동됐고, 이중 1등급 업무는 16개, 44.4%가 정상화됐다.

중대본이 이날 처음 공개한 손상된 96개 정부 시스템은 통합보훈, 국민신문고 서비스, 국가법령정보센터, 안전디딤돌 등 1등급 4개, 노사누리, 행정포털시스템, 전자통합평가, 사회복지시설정보, 국민재난안전포털, 클라우드 온나라 등 2등급 10개가 포함돼 있다. 이밖에 3등급 31개, 4등급 51개 등이다.

이날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정자원 대구센터를 방문해 서비스가 중단된 96개 시스템을 재구축할 클라우드 시설을 점검했다.

대구센터는 행정·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작년에 구축했다. 정부는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해 서비스 복구를 추진하고 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중단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 장관은 이번 대전 본원 화재 원인으로 알려진 무정전전원장치(UPS)와 배터리 관리 상황도 점검했다.

대구센터에는 UPS실과 배터리실을 격벽으로 분리해 화재 확산을 차단하는 설계가 적용돼 있다. 지난 10일에는 전기안전공 법정 검사를 통해 안정성을 검증받았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윤 장관은 "짧은 기간 여러 시스템을 새로운 전산실에 이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국민의 불편을 이른 시일 내에 해소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이전작업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화재 발생 당시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의혹에 대해 중대본 측은 "확인 결과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며 "배터리 이전 준비 중 화재가 발생했고 이때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