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감이 뉴욕증시를 다시 끌어올렸다.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우려가 남아 있지만, AI 투자 확대와 관련 기업들의 선전이 투자 심리를 지탱하면서 주요 지수는 2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78포인트(0.15%) 오른 4만6,136.0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7.51포인트(0.26%) 상승한 6,661.21,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9포인트(0.48%) 오른 2만2,591.15를 기록했다.
최근 엔비디아와 오픈AI의 1천억 달러 규모 계약이 '순환출자' 논란에 휘말리고, 오라클이 180억 달러 회사채 발행에 나서면서 AI 투자에 대한 재무적 부담 우려가 제기됐었다. 그러나 이날 엔비디아가 2% 상승하며 투자자들에게 AI 테마의 힘을 다시 각인시켰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나란히 1% 안팎 오름세를 보였다.
오픈AI가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손잡고 챗GPT에서 상품 구매와 결제를 직접 연결하는 기능을 내놓은 점도 기대를 키웠다. 기존 유료 서비스 외에 뚜렷한 수익 모델이 부족하다는 지적 속에서, 새로운 사업 확장이 수익 다변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바클레이즈의 베누 크리슈나 미국 주식 전략 총괄은 "AI 설비 투자는 둔화할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AI 인프라 확대는 기술기업뿐 아니라 전통 산업에도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장 후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일부 기술주는 상승폭을 줄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장중 1.6% 이상 올랐다가 0.16% 상승으로 마무리됐다.
셧다운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상원은 30일 임시 지출 법안을 재표결할 예정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의회 지도부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셧다운이 현실화되면 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돼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민주당·정부 "배임죄 폐지 기본방향으로 정해"
검찰청 폐지 여파…김건희특검 파견검사 40명 전원 '복귀' 요청
김계리 "尹, 법정 나갈 때 컵라면과 건빵으로 점심…실명·생명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