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로 국가행정시스템이 마비돼 국가적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닌 가운데 지역의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 수준이 수도권에 비해 턱없어 모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시도별 전기차 화재 현황 및 시도별 대응장비 보유 현황'자료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진압을 위한 장비 보유는 서울(406), 경기(597)에 비해 지역 주요 도시인 부산(160), 대전(77), 제주(84) 등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131개, 경북은 422개 전기차 소방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지역(49건)의 화재 건수가 서울·경기(24건) 보다 2배 이상 많은 점을 고려하면 더욱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구체적으로 다수 전기차에 탑재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폭주로 인한 재발화와 지연발화 위험이 크고 화재 시 단순 물 분사로 진압이 쉽지 않기 때문에 화재 진압을 위해선 '이동식수조', '질식호화덮개', '방사장치' 등 특화 장비 보유가 반드시 필요한데 지방은 수도권 대비 장비가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2018년 3건에 그쳤던 전기차 화재 사고는 2019년(7건), 2020년(11건), 2021년(23건), 2022년(43건)으로 꾸준히 증가했고 특히 2023년과 2024년은 각각 72건과 73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성권 의원은 "수도권 대비 사고 건수가 많은 지방에 전기차 화재 사고 시 화재를 진압할 안전 장비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은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며 "정부는 전기차 안전 시설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대한 예산 등의 종합 지원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체포적부심 인용 후 부는 역풍… 국힘 "국감서 경찰 책임 물을 것"
이진숙, 체포 50시간 만에 석방
정희용 "예능 출연한 대통령…'국정자원센터 화재 직후였다'"
[단독] '여성가산점' 폐지권고에 'LGBT 가산점' 도입한 영진위 ①
"너 하나 때문에 의원들 죽일 것"…김미애 의원, 협박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