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운문천댐, 설명 없이 무산…홍석준 "정치 논리로 취소는 안된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홍석준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
홍석준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

댐 건설이 돌연 취소되자 지역 정치권에서 날 선 반응이 터져 나왔다.

대구·경북의 식수 문제와 직결된다는 지적과 함께 "정권 교체에 따른 행정의 무책임"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홍석준 전 국민의힘 의원은 8일, 환경부의 운문천댐 건설 취소 결정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환경부의 결정은 명확한 설명 없이 이뤄졌으며, 정치적 이유로 지역의 숙원 사업이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최근 경북 청도군 운문면에 계획돼 있던 '운문천댐' 건설을 공식적으로 백지화했다. 해당 사업은 운문댐 상류에 소규모 댐을 추가로 건설해 지역 식수 공급을 보완한다는 목적에서 추진돼 왔지만, 계획은 장기간 표류한 끝에 최종 철회됐다.

홍 전 의원은 운문천댐이 단순한 개발 사업이 아니라, 대구·경북의 안정적인 식수 확보와 직결된 공공 인프라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 댐은 하루 2만4000톤의 용수를 생산할 수 있고, 이는 약 3만5000가구에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라며 "결정이 취소된 배경에는 기술적·환경적 판단보다는 정치적 고려가 앞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대구는 서울, 인천, 대전, 광주, 울산 등 타 도시와 달리 낙동강 수계에 식수의 70% 이상을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낙동강은 가뭄이나 유해물질 유입에 취약해 대체 수원을 마련하는 것은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한 핵심 과제였다"고 주장했다.

운문천댐은 그동안 논란 없이 사업이 진행돼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지역의 댐 건설이 주민 반대나 환경단체의 반발로 취소된 사례와 달리, 운문천댐 예정지는 별다른 지역 갈등 없이 추진돼 왔다.

이에 대해 홍 전 의원은 "환경부는 취소 이유에 대해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며 "정권이 바뀌었다고 전임 정부가 추진하던 사업을 아무 설명 없이 없애는 것은 책임 있는 행정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일부 지역 사업은 주민 의견을 이유로 보류하면서, 아무 갈등도 없는 지역 사업은 정치적 이유로 취소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대구·경북이라는 지역적 배경이 이 결정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운문천댐 건설 취소로 지역 내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물 관리 정책이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 제기도 이어지고 있다.

운문천댐은 지난 정부에서 지역 물 부족 해소와 기후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환경부는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던 중·소규모 댐 건설 계획을 재검토해왔고, 운문천댐 역시 이 과정에서 취소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