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몸집 커진 기후에너지환노위에 현안 多…TK 위원 어깨 무겁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정책 분야 환경부로 이관
환노위도 기후에너지환노위로…원전 등 TK 현안도 늘어
댐·4대강·탈원전·대구 취수원 이전 등 소홀히 말아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식에서 출범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식에서 출범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기후·에너지 업무까지 더한 거대 상임위(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로 탈바꿈하면서 대구경북(TK) 현안 다수도 다루는 전장(戰場)이 될 전망이다. 신규 댐 건설, 4대강 재자연화·탈원전 논란, 대구 취수원 이전 등이 논의될 기후에너지환노위 소속 TK 위원들의 어깨도 동시에 무거워지고 있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비례)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비례)

9일 국회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하면서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분야 등이 환경부로 넘어왔다. 환경부는 이달 1일자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탈바꿈했다.

애초 환경부를 소관했던 환노위도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 명패를 바꿔 달았다. 덩치가 커진 만큼 상임위 위원 정수를 늘리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대치 속에 상황이 여의치 않아 무산됐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경산)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갑)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갑)

위원장을 포함한 기존 여야 위원 16명이 기존 환경, 노동뿐 아니라 에너지 분야까지 다뤄야 한다. 상임위가 살펴야 할 TK 현안 역시 덩달아 증가했다.

에너지 정책 분야의 한 축인 원자력발전과 관련한 영역을 기후에너지환경위에서 다뤄야 하는 탓이다. 새 정부는 재생에너지에 크게 힘을 실으며 원전 활성화엔 미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당시 TK를 큰 위기에 빠뜨렸던 '탈원전' 정책이 부활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기존 환경 분야 TK 현안은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체제에 들어 '전 정권 지우기'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김 장관은 최근 청도 운문천댐, 예천 용두천댐 등 윤석열 정부 당시 확정했던 댐 건설 계획을 백지화했다. 4대강 보를 두고도 문재인 정권이 추진했던 개방·철저(재자연화) 정책의 재추진 방침을 확고히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을 두고도 문 정권 당시 결정됐던 구미 해평 이전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분위기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기후에너지환노위 소속 TK 의원(김형동·김위상·우재준·조지연)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여건이다. 당장 13일부터 이어질 국정감사에서 이들 의원들이 정부, 여당을 향해 확실한 존재감을 보여줘야 한다는 주문이 제기된다.

TK 정가 관계자는 "중진 임이자 의원이 기재위원장으로 떠나면서 재선의 김형동 간사, 초선 의원들 중심의 전력을 갖추게 돼 중량감이 떨어진 건 사실"이라면서도 "만만치 않은 상임위에서 TK 의원들이 역량을 발휘해 현안도 챙기고,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