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시절 수사기관의 통신 조회가 급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수사기관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현황'에 따르면, 2020∼2024년 수사기관이 통신사로부터 받은 조회 건수는 연평균 50만이었다.
특히 작년에는 국가정보원의 통신사실 확인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은 2020년 상반기 16만7천979건이던 조회 건수가 작년 상반기 22만5천449건으로 약 6만건 증가했다.
기관별로는 경찰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또 작년 하반기 경찰의 조회 문서 수는 13만3천건, 전화번호 수는 19만4천건이었고, 검찰은 같은 기간 5만7천건 이상의 전화번호 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통신사별 제공 현황은 국가안보, 수사 기밀 유지 등을 이유로 공개가 어렵다"며 "법적 요건 검증은 통신사업자가 자체 판단에 따라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
김우영 의원은 "수사기관의 통신정보 조회는 국민의 민감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인 만큼 투명성과 통제 장치가 필수"라며 "수사기관별 요청 사유와 법원 허가 비율, 사후 통보 현황 등을 공개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