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알리바바 식구 된 G마켓, 연 7천억원 투자하고 플랫폼 고도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마켓,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자 간담회
중장기 전략으로 '국내 경쟁력 강화' '글로벌 확장' 추진
판매자 지원 강화, 서비스 고도화 등에 연 7천억원 투자

지마켓(G마켓)이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지마켓 대표는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의 AI(인공지능)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입점 판매자를 지원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빈 기자
지마켓(G마켓)이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지마켓 대표는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의 AI(인공지능)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입점 판매자를 지원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빈 기자

"앞으로 5년간 이커머스(전자상거래) 분야에 있을 가장 큰 변화는 뭐라고 생각하세요? 전 AI(인공지능)라고 생각합니다. AI를 통해 기회를 잡는 것만이 지마켓(G마켓)이 다시 1위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입니다."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지마켓 대표는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신세계그룹과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이 설립한 합작법인 '그랜드오푸스홀딩'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다시 출발선에 선 지마켓이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AI 기술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해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해외 플랫폼과 동맹을 발판삼아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중장기 전략 추진에 연 7천억원 투입

지마켓은 이날 '국내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확장'을 축으로 한 중장기 전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마켓은 '국내 시장과 글로벌 시장을 잇는 마켓 플레이스'라는 뜻의 '글로벌-로컬 마켓'을 새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전략 실현을 위한 초기 비용으로 연 7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주요 부문별 투자 규모는 ▷셀러(판매자) 경쟁력 지원 연간 5천억원 ▷고객 대상 프로모션 1천억원 ▷이커머스 맞춤형 AI 기능 고도화 1천억원 등이다.

지마켓은 판촉 지원, 신규·중소 셀러 육성 등으로 입점 셀러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빅 스마일데이'와 같은 대규모 프로모션을 진행할 때 드는 고객 할인 비용을 지마켓이 전액 부담하고, 신규 셀러의 빠른 정착을 위해 일정 기간 수수료를 받지 않는 '제로(0) 수수료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입점 셀러가 해외시장에서 판로를 개척할 기회도 넓힌다. 지마켓은 알리바바와 동맹을 기반으로 한 해외시장 확대가 이커머스 시장에서 차별화를 이룰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마켓은 지난달 알리바바 산하 동남아 지역 플랫폼 '라자다'와 제휴를 맺고, 싱가포르·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베트남 5개국에 대한 상품 판매를 개시했다. 이어 2027년까지 남아시아 지역과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유럽, 북미, 중남미, 중동 등으로 진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AI 기술 도입으로 검색 기능 효율화

AI 기반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데도 투자를 대폭 강화한다. 알리바바의 AI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성능을 높이고, 딥러닝(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조합, 분석해 학습하는 기술)을 활용한 상품 검색·추천 서비스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AI를 기반으로 검색 기능을 효율화하면 고객 행동 패턴을 감지하고 사용자 의도를 이해해 보다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지마켓은 설명했다.

김정우 지마켓 PX(Product experience) 본부장은 "알리바바와 기술 협업을 진행 중"이라면서 "딥 러닝과 LLM(대규모 언어모델), 멀티모달 모델링(MMF, 텍스트·이미지·오디오 등 데이터를 통합해 처리·추론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술을 통해 더 똑똑한 검색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AI 에이전트'와 '쇼핑 피드' 형태의 상품 추천 서비스도 적용해 스마트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객정보의 중국 유출 우려에 관해서는 "지마켓의 고객정보는 지마켓이 단독으로 관리하고 책임을 지게 된다. AI 학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도 지마켓이 운영하는 독립된 클라우드에 보관되고, 국내 서버에 한정해서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변화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5년 안에 거래액을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높이는 게 지마켓 목표다. 장 대표는 "향후 한국시장에서의 '리브랜딩'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있다"면서 "알리바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K-뷰티, K-패션, K-푸드 등을 세계와 연결하는 플랫폼이 되고자 한다. 한국의 경쟁력 있는 상품과 브랜드를 각국에 널리 알리고, 국내 회사들이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판로를 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지마켓 대표는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지마켓 비전과 중장기 사업 전략 등을 설명했다. 정은빈 기자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지마켓 대표는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지마켓 비전과 중장기 사업 전략 등을 설명했다. 정은빈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