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월 항쟁 당시 대구 사회는 어땠을까…근대역사관 '열린 역사문화 강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해방 직후 대구의 격변과 1946년 10월' 주제
10월 29일 오후 2시 역사관 2층 문화강좌실

대구콘서트하우스 앞에 있는 10월 항쟁 발상지 표지판.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콘서트하우스 앞에 있는 10월 항쟁 발상지 표지판.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근대역사관이 10월 29일 오후 2시 2층 문화강좌실에서 '해방 직후 대구의 격변과 1946년 10월'을 주제로 제38회 열린 역사문화 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10월 항쟁 내용과 당시 대구경북 사람들이 마주했던 사회상을 살펴본다. 1946년 10월 항쟁은 그동안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10·1폭동', '10·1사건', '10·1소요'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려왔다. 2010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는 공식 조사 대상으로 인정하고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2016년 7월 대구시의회에서는 '대구시 10월 항쟁 및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사업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이 통과됐고, 2020년 10월 대구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10월 항쟁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이 건립됐다. 또한 대구시는 최근 대구콘서트하우스 앞에 '10월 항쟁 발상지' 표지판을 설치하기도 했다.

강좌는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의 김상숙 연구교수를 초청해 진행한다. 김 교수는 '10월 항쟁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와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 '대구의 5.18, 두레양서조합 사건' 등의 저서를 비롯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한국현대사 전문가다. 해방 직후 대구·경북 사회 동향과 10월 항쟁의 발생 배경과 경과 등을 살펴보며, 대구 현대사의 일면을 이해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착순으로 성인 40명을 모집하며,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전화(053-430-7917) 또는 방문 신청하면 된다. 잔여석이 있는 경우 당일 현장 신청도 가능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