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시의회 이재갑 의원(와룡·길안·임동·예안·도산·녹전)이 '제262회 안동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다가오는 2026년, 안동이 'AI 한글화 선도 도시'로 도약하길 소망한다"며 시민 중심의 AI 교육과 제도적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발언 서두에서 지난 9대 의정 활동을 회고하며, "안동이 낡은 관행과 관습에 머무리지 않고 시민의 삶을 지키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그리고, "이제 우리는 'AI 시대'라는 또 다른 변화와 혁신의 흐름 속에 있으며, AI를 활용하는 사람과 경쟁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AI기술 혁신은 우리에게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이며, AI기술에 대한 두려움보다 시민 모두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사회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전 세계 기업의 80%가 2026년까지 생성형 AI 교육을 공식 프로그램으로 도입할 것이라는 글로벌 IT 자문사 가트너(Gartner)의 전망과 함께, 이재명 정부의 '전 국민 AI한글화 프로젝트' 추진, 전 세대를 대상으로 AI 교육을 실시 중인 여러 지자체의 사례를 언급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안동이 'AI 선도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참고해야 할 중요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안동은 훈민정음 혜례본이 발견된 역사적 지역으로,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고자 했던 훈민정음의 창제 정신이 'AI 한글화 교육'의 취지와 맞닿아 있다"면서 "안동이 지닌 인문 가치와 AI 기술이 결합한다면,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미래를 선도하는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15만 안동시민 모두가 AI를 두려워하지 않고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 시민 모두가 변화의 주체로 성장해야 한다"며 "AI 교육은 청년에게는 새로운 일자리와 도전의 기회를, 노년층에게는 사회 참여와 삶의 질 향상의 통로가 되어 세대 간 균형 발전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안동시가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AI 한글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안동시 인공지능(AI) 기본 조례' 등 제도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다가오는 2026년, 안동이 전통과 혁신을 아우르는'AI 한글화 선도 도시'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