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성적을 기록했으나 미국 현지 공장의 ESS(에너지저장장치) 전환을 통해 수익성 강화에 나선다는 청사진을 내놓으며 주가는 오히려 상승했다.
28일 삼성SDI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5천91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영업손실 3천억원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다.
매출은 3조51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0%, 작년 동기 대비 22.5% 감소했다. 회사는 지난해 4분기 2천567억원의 영업손실을 시작으로 올해 3분기까지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내고 있다.
김종성 삼성SDI 경영지원실장은 이날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작년부터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소비자 수요가 볼륨 및 엔트리 세그먼트로 이동했고 미국 진출이 상대적으로 늦은 상황에서 합작법인 파트너사의 수요도 크게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ESS는 미국 중심으로 수요가 성장하고 있으나 관세 부담 등으로 수익성이 예상보다 좋지 않다"고 덧붙였다.
다만 삼성SDI는 올해 4분기에는 3분기보다 적자 폭을 대폭 개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부사장은 "내년에도 ESS는 친환경 발전 확대와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으로 수요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중국산 규제 강화와 안전성이 높은 각형 폼팩터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미국 내 각형 캐파를 보유한 업체들의 기회가 많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 ESS 시장에서 기존 라인 전환을 통한 생산능력(캐파) 확보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이달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내 합작법인 '스타플러스 에너지'(SPE) 공장 라인을 삼원계(NCA) 기반 ESS 배터리용으로 전환해 가동을 시작했다.
내년 4분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 라인 전환을 준비 중이며 이를 통해 내년 말경에는 연간 약 3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미국 ESS 캐파를 확보할 계획이다.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에서도 볼륨 및 엔트리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LFP·미드니켈 각형 배터리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돌파구를 마련한다. 아울러 글로벌 생산 거점별 공급망 관리 최적화와 제조 효율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에도 집중한다.
이 외에도 휴머노이드, 드론 등 AI 관련 미래 먹거리 시장 성장에는 고출력, 고용량 원형 배터리와 원형 배터리 기반 코인셀, 파우치 기반 미니셀 등을 활용해 대응해 나간다.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데이터센터 서버 랙 단위의 전원 백업 장치인 배터리백업유닛(BBU) 시장 확대도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